개인의 역량 및 학습 이력, 성취도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인증하는 디지털 증명 수단입니다.
K-MOOC 사이트 | K-MOOC (kmooc.kr) |
---|---|
CAU-ON 사이트 | CAU-ON (canvas.cau.ac.kr) |
기본적인 인공지능의 기술 활용과 함께 기계학습 혹은 딥러닝의 심화된 기술 습득을 통해 인공지능을 심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과정
마스터 영역 | 모듈명 | 강좌명 | 강좌소개 | 교수명 | Credit | 강좌길이 | 운영방법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AI&Deep Learning | AI 입문 | 인공지능 연구 동향 | 최신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연구 동향을 포괄적으로 다룹니다 | 김영빈 | 3 | 13주차*50분 | CAU-ON |
신경망 네트워크와 수학적 기반 | 신경망과 인공지능의 수학적 기초를 다루며, 벡터와 행렬 연산, 최소 제곱 문제, 선형 회귀, 분류, 모델 일반화, 비지도 학습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합니다 | 홍병우 | 3 | 13주차*50분 | |||
모두를 위한 AI | AI와 데이터 과학의 기본 개념부터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이해와 실제 적용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| 임명임 | 3 | 15주차*50분 | |||
AI를 활용한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| Python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Orange3를 사용하고 주요 머신 러닝 모델을 탐색함으로써 수강생은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모두 얻습니다. 실제 사례 연구는 머신 러닝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이 과정은 AI와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 결정을 추진하려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기회입니다. | 한진영 이민정 |
3 | 13주차*50분 | |||
AI 심화 | 딥러닝의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한 머신러닝 | 머신러닝의 기본 개념부터 심화된 딥러닝 기술까지 포괄적으로 다룹니다. | 최종원 | 3 | 13주차*50분 | ||
딥러닝 3D 생성모델 | 인공지능 기반 3D 생성 및 렌더링 기법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부터 최신 응용까지 학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김학구 | 3 | 13주차*50분 | K-MOOC | ||
딥러닝 기반 자연어 처리 | - | 김영빈 | 3 | 13주차*50분 |
미래 기술로서 화두가 되는 인공지능과 메타버스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, 인공지능과 메타버스를 접목하여 새로운 가상현실을 구현하여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
마스터 영역 | 모듈명 | 강좌명 | 강좌소개 | 교수명 | Credit | 강좌길이 | 운영방법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마스터 배지-Meta AI | AI 입문 | AI를 활용한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| Python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Orange3를 사용하고 주요 머신 러닝 모델을 탐색함으로써 수강생은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모두 얻습니다. 실제 사례 연구는 머신 러닝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이 과정은 AI와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 결정을 추진하려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기회입니다. | 한진영 이민정 |
3 | 13주차*50분 | CAU-ON |
기업에서 바라본 AI | 기업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AI 기법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실제 산업 적용 사례를 통해 실무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김진수 | 1 | 6주차*25분 | |||
생활속의 AI |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고, 다양한 AI 기법과 그 발전 과정을 이해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손권상 | 1 | 6주차*25분 | |||
모두를 위한 AI | AI와 데이터 과학의 기본 개념부터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이해와 실제 적용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| 임명임 | 3 | 15주차*50분 | |||
가상현실 | 가상현실과 메타버스의 이해 (대학원) | 가상현실과 메타버스의 기초 개념부터 메타버스 관련 장비와 기술, 제작 과정, 그리고 메타버스 플랫폼 및 관련 산업까지 포괄적으로 다룹니다. | 유길상 | 1 | 6주차*25분 | ||
메타버스 : 가상융합플랫폼로서의 진화 | 메타버스의 개념, 분류, 서비스 사례, 핵심 기술, 윤리적 이슈에 대한 심도 있는 학습을 제공합니다. | 서상현 | 1 | 6주차*30분 | K-MOOC | ||
딥러닝 3D 생성모델 | 인공지능 기반 3D 생성 및 렌더링 기법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부터 최신 응용까지 학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김학구 | 3 | 13주차*50분 | |||
가상현실 상호작용(VR interaction) | 가상현실 콘텐츠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 수강생들은 개인정보의 개요, 개인정보보호법, 개인정보 생명주기 관리, 보호조치 기준, 관리체계(ISMS-P 인증 포함) 등을 학습하고, 모의실전고사를 통해 실전 능력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. | 유태경 | 3 | 13주차*50분 | CAU-ON |
금융산업에 AI를 접목한 기술을 학습하여, 최신 금융서비스의 혁신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설계되었습니다
마스터 영역 | 모듈명 | 강좌명 | 강좌소개 | 교수명 | Credit | 강좌길이 | 운영방법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마스터 배지-Finance AI | AI 입문 | 신경망 네트워크와 수학적 기반 | 신경망과 인공지능의 수학적 기초를 다루며, 벡터와 행렬 연산, 최소 제곱 문제, 선형 회귀, 분류, 모델 일반화, 비지도 학습 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합니다. | 홍병우 | 3 | 13주차*50분 | CAU-ON |
모두를 위한 AI | AI와 데이터 과학의 기본 개념부터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이해와 실제 적용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다룹니다. | 임명임 | 3 | 15주차*50분 | |||
AI를 활용한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| Python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Orange3를 사용하고 주요 머신 러닝 모델을 탐색함으로써 수강생은 이론적 지식과 실무 경험을 모두 얻습니다. 실제 사례 연구는 머신 러닝 기술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이 과정은 AI와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 결정을 추진하려는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기회입니다. | 한진영 이민정 |
3 | 13주차*50분 | |||
기업에서 바라본 AI | 기업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AI 기법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, 실제 산업 적용 사례를 통해 실무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김진수 | 1 | 6주차*20분 | |||
생활속의 AI | 인공지능 기술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고, 다양한 AI 기법과 그 발전 과정을 이해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손권상 | 1 | 6주차*25분 | |||
Data Science/finance | 금융AI(Financial Artificial Intelligence) | 금융 분야에서 인공지능(AI) 기술의 활용과 그 미래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유시용 | 3 | 14주차*50분 | ||
빅데이터 이해 및 활용[중급] | 기업 및 조직에서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의 기반구조를 이해하고, 데이터 수집, 전처리, 분석 등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| 손권상 | 2 | 13주차*25분 | |||
빅데이터 분석기사[초급] | 빅데이터 분석의 기본 분석기술과 방법론을 기반으로 정형/비정형 대용량 데이터를 구축, 탐색, 분석하고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스킬 보유를 목표로 합니다. | 손권상 | 2 | 13주차*25분 |
문화/예술 모듈에서 현대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, Creator 모듈에서 실질적인 콘텐츠 제작 기술을 습득을 목표로 합니다.
마스터 영역 | 모듈명 | 강좌명 | 강좌소개 | 교수명 | Credit | 강좌길이 | 운영방법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마스터 배지-Culture&Creator | 문화/예술 | 과학기술과 문화의 이해 | 과학기술과 문화의 상호작용을 인문학적 시각에서 탐구하고, 과학기술 사회학(STS)의 개념을 소개하여, 과학기술이 사회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최현철 | 1 | 6주차*30분 | K-MOOC | |
신 한류 문화의 이해 | 역사적 배경부터 현대 신한류까지의 발전과정을 다루며, 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통한 한류 콘텐츠의 확산, 디지털 기술의 발전, 그리고 글로벌 문화와의 상호작용 등을 탐구합니다. | 송고은, 최현철 |
3 | 13주차*50분 | CAU-ON | |||
영화로 이해하는 불안과 공포 | 영화의 내러티브를 통해 사회 구조적 측면에서 불안과 공포를 이해하고, 이를 다양한 맥락에서 접근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 | 윤부희 | 1 | 6주차*30분 | ||||
사진 이후의 사진 | 인터넷 시대와 초연결 사회에서 변화하는 사진의 정체성에 대한 인문학적, 예술적 질문들을 다루며, 국내외 전문가들과의 대담을 통해 사진의 현재와 미래를 탐구합니다. | 천경우 | 2 | 14주차*30분 | ||||
Creator | 영상 제작 및 편집 | 영상 편집의 필수 개념과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학습하고, 다양한 도구를 활용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영상 제작 및 편집 기술을 습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 | 김찬호 | 1 | 6주차*25분 | |||
크리에이터 사고 및 글쓰기* | - 이미지로 키우는 사고력 VTS - 크리에이터를 위한 글쓰기 |
시각적 사고 능력과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 | 손지현, 강유진 |
3 | 6주차*20분 6주차*30분 |
|||
영상 전문 크리에이터가 되기 위한 영상 언어의 이해 | 영상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영상 언어와 스토리텔링 전략을 깊이 있게 학습하여, 전문 크리에이터로서의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 | 윤부희 | 2 | 13주차*25분 |
개인정보 보호 모듈에서 개인정보 처리와 보호 원칙을 배우고, 데이터 과학 및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기초와 심화된 데이터 분석 기술을 습득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마스터 영역 | 모듈명 | 강좌명 | 강좌소개 | 교수명 | Credit | 강좌길이 | 운영방법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마스터 배지-Data&Privacy | Privacy | 개인정보: 보호와 이용의 법과 권리 | 지능정보사회 · 초연결사회에서의 정보보호 차원의 문제점을 도출하고, 개인정보 보호와 이용의 기본 원리와 방법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대비한 정보보호 방안에 대한 지식과 스킬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. | 이인호 | 1 | 6주차*30분 | K-MOOC | |
사례로 배우는 산업융합보안 | 현대 산업과 기술의 융합으로 발생하는 보안 위협을 이해하고,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강성준 | 3 | 15주차*50분 | CAU-ON | |||
빅데이터와 개인정보 활용 |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을 중심으로, 개인정보의 생명주기별 보안, 법적 제도적 요건, 그리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정보의 안전한 관리와 활용 방안 등을 다룹니다. | 장항배 | 3 | 14주차*50분 | ||||
개인정보관리사(CPPG) | 데이터 경제 시대에서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, 개인정보 보호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 | 박종철 | 1 | 6주차*25분 | ||||
융합보안*(대학원) | - Digital Transformation과 융합보안 - 개인정보 보호와 가명정보의 활용 |
다양한 보안기술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, 보안 솔루션 및 서비스 영역을 칭하는 정보보안 기술을 조합할 수 있는 기본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, 개인정보보호법의 주요 내용 및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보호 방안에 대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. | 김재수 김동현 |
1 | 1주차*60분 1주차*60분 |
|||
Data Science/SW | 모두를 위한 AI | AI와 데이터 과학의 기본 개념부터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이해와 실제 적용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다룹니다. | 임명임 | 3 | 15주차*50분 | |||
빅데이터 분석기사[초급] | 빅데이터 분석의 기본 분석기술과 방법론을 기반으로 정형/비정형 대용량 데이터를 구축, 탐색, 분석하고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스킬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. | 손권상 | 2 | 13주차*25분 | ||||
빅데이터 이해 및 활용 [중급] (대학원) | 최근 기업 및 조직에서 주목받고 있는 빅데이터 분석의 기반구조를 이해하고, 데이터 수집, 전처리, 분석 등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| 손권상 | 2 | 13주차*25분 | ||||
코딩없는 SW개발 | 코딩없는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환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코딩 없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지식과 스킬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. | 장항배 | 1 | 6주차*30분 | K-MOOC |
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구와 테크놀러지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개인과되고 공감적인 학습 구현 실천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
마스터 영역 | 모듈명 | 강좌명 | 강좌소개 | 교수명 | Credit | 강좌길이 | 운영방법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마스터 배지-하이터치 하이테크*(HTHT) | AI 입문 | 모두를 위한 AI | AI와 데이터 과학의 기본 개념부터 다양한 머신러닝 모델의 이해와 실제 적용까지 포괄적인 내용을 다룹니다. | 임명임 | 3 | 15주차*50분 | CAU-ON |
교육과 AI 윤리 | AI 기술의 발전과 교육 분야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, AI 도입에 따른 윤리적 이슈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 | 이보영 | 1 | 6주차*20분 | |||
EduTech | 미래교육과 에듀테크 | 미래 사회의 특성과 교육 환경의 변화를 탐색하고, 창의·인성 교육의 실천 방안과 에듀테크의 개념과 활용 방안을 학습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송해덕 | 3 | 15주차*50분 | K-MOOC | |
가상현실과 메타버스의 이해 | 가상현실과 메타버스의 기초 개념부터 메타버스 관련 장비와 기술, 제작 과정, 그리고 메타버스 플랫폼 및 관련 산업까지 포괄적으로 다룹니다. | 유길상 | 1 | 6주차*25분 | CAU-ON | ||
AI Tool 활용 수업설계 | 교육자들이 다양한 AI 도구를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 | 이보영 | 2 | 13주차*25분 | |||
Data Science |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| 파이썬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에 필요한 기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| 조대현 | 2 | 13주차*30분 | ||
빅데이터 분석기사[초급] | 빅데이터 분석의 기본 분석기술과 방법론을 기반으로 정형/비정형 대용량 데이터를 구축, 탐색, 분석하고 시각화를 수행할 수 있는 지식과 스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 | 손권상 | 2 | 13주차*25분 |